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블레이드 러너, Blade Runner, 1982 잘 담근 술은 시간이 지나면.. 리들리 스콧(Ridley Scott)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는 개봉 당시 흥행에 실패했지만, 현재는 SF 영화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했다. 필립 K. 딕(Philip K. Dick)의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1968)'를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2019년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인간과 구별할 수 없는 인공생명체 '레플리컨트'를 추적하는 '블레이드 러너' 데커드(Rick Deckard)의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사적으로 블레이드 러너는 사이버펑크 장르의 시각적 미학을 확립했으며, 디스토피아적 미래 도시의 표준적 이미지를 제시했다. 어두운 도시 풍경, 끊임없이 내리는 비, 거대 기업의 네온사인 .. 2025. 4. 11.
솔라리스, Solaris, 1972, 2002 2002년 솔라리스(Solaris)는 1972년 타르콥스키(Andrei Tarkovsky)의 동명 영화와 같은 원작에서 출발하지만, 영화적 태도는 전혀 다르다. 철학적 질문을 내면의 기도처럼 천천히 끌어올리던 1972년작과 달리, 2002년작은 보다 직접적으로 감정에 호소한다. 그러나 이 감정은 비극을 향하지 않고, 애도의 가능성을 시험한다. 우주 공간은 더 이상 신의 영역이 아니며, 기억은 처벌이 아닌 회복의 도구가 된다.감정을 통한 실재의 재구성 타르콥스키는 인간 존재의 깊은 죄의식, 실체 없는 것의 실재성, 그리고 절대적인 타자와의 소통 불가능성에 관심이 있었다. 반면 소더버그(Steven Soderbergh)의 솔라리스는 사랑과 기억의 역학을 실존적 질문이 아닌 정서적 동요로 치환했다. 가장 .. 2025. 4. 11.
마이너리티 리포트 ,Minority Report, 2002 너무 많은 질문들, 겨우 알아들은거 몇 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2054년, 미래의 범죄를 예측하고 그 범죄자를 미리 체포하는 '프리크라임'(Pre-crime) 시스템이 구축된 워싱턴 D.C.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존 앤더튼(John Anderton)은 프리크라임 부서의 책임자로, 세 명의 '프리콕'(Precog)이라 불리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의 예지 능력을 바탕으로 범죄가 발생하기 전에 범죄자를 체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그러던 중 프리콕들이 앤더튼 자신이 36시간 후에 한 남자를 살해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게 되고, 앤더튼은 자신이 알지도 못하는 사람을 왜 죽이게 되는지 그 이유를 찾아 도망치게 되는데... 미래의 행동에 대한 현재의 책임영화의 가장 중요.. 2025. 4. 10.
존스 자유주, 프리 스테이트, Free State of Jones, 2016 존스 자유주는 2016년 개봉한 미국 영화로, 미국 남북전쟁을 배경으로 실제 인물 뉴턴 나이트(Newton Knight)의 활동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전장에서의 영웅담이나 감성적 해방 서사보다는, 인간이 인간으로서 행해야 할 최소한의 정의와 공동체의 윤리에 초점을 맞춘 점에서 독자적 위치를 가진다. 1861년부터 1865년까지 지속된 미국 남북전쟁은 노예제 폐지를 둘러싼 갈등이 핵심이었다. 그러나 남부의 가난한 백인 농민들, 특히 자영농들은 노예 소유와 무관함에도 불구하고 전쟁에 동원되었다. 뉴턴 나이트는 미시시피 출신으로, 이러한 모순에 저항하여 남군을 탈영하고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농민, 탈출한 노예들과 함께 독립 공동체를 형성했다. 이는 미시시피 존스 카운티(Jones County)의 실재 사건에.. 2025. 4. 10.
욥기의 저자는 자녀가 없었다? 욥기는 무슨 의도로 썼나? 자식 잃은 욥에 대한 묘사 욥기의 저자는 자녀가 없었다고 주장하고 싶어서 글을 써 본다. 욥기는 산문으로 된 서문(1-2장)과 결말(42장), 그리고 시적 대화로 구성된 본문(3-41장)으로 구성된다. 서문에서는 욥이 일곱 아들과 세 딸, 막대한 재산을 지닌 의인으로 등장하며, 사탄의 도전으로 인해 재산과 자녀를 한꺼번에 잃게 된다(욥 1:18-19). 욥의 반응은 비통함 속에서도 경배와 신앙 고백으로 나타난다(욥 1:20-21). 흥미로운 점은, 자녀의 죽음이라는 극단적 사건에도 불구하고, 텍스트는 심리적 애도 과정이나 자녀 각각의 개별성에 대한 언급 없이, 상실을 매우 간결하게 처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욥기의 결말(욥 42:12-17)에서는 욥이 이전보다 두 배의 재산을 회복하고 다시 일.. 2025. 4. 10.
은하영웅전설, Legend of the Galactic Heroes, 1982 은하영웅전설(銀河英雄伝説)은 다나카 요시키(田中芳樹)가 1982년부터 1987년까지 집필한 대우주 SF 정치 드라마로, 수세기에 걸친 은하제국과 자유행성동맹의 대립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작품은 단순한 우주 전쟁물을 넘어 정치 체제, 리더십, 역사의 순환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모순 덩어리 정치 체제 은하영웅전설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치적 딜레마 중 하나는 "다수의 이익을 위한 소수의 희생"이라는 문제이다. 이 작품은 공리주의(Utilitarianism)적 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다양한 상황을 통해 탐구한다. 양 진영의 지도자인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Reinhard von Lohengramm)과 양 웬리(Yang Wen-li)는 모두 이 딜레마에 직면한다. 라인하르.. 202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