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 1492 콜럼버스, 1992; ‘발견’이 아니라 ‘고장’, 콜럼버스가 망가뜨린 세계 영화를 빌미로..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는 자신을 신의 사명을 수행하는 존재로 여겼고, 신대륙 발견을 단순한 항해 성공이 아닌, 성서적 서사 안에 배치하려 했다. 1492년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했을 때조차 그는 그곳을 인도라 확신했고, 이후에도 그 믿음을 꺾지 않았다. 이건 지도상 오류가 아니라 신학적 구조물 위에 놓인 확신이었다. 그의 항해는 성경의 예언을 이루는 과정이었고, 그 안에서 ‘실패’란 단어는 허용되지 않았다. 신의 도구는 의미 없는 땅에 닿을 수 없다고 그는 믿었다(West & Kling 1991). 그의 신앙은 내면에서 길어 올린 성찰이 아니라, 굳고 단단하되 유연하지 못한 철근 같은 신념이었다. 복음 전파는 그의 공식적 이유였지만, 그 땅의 사람들은.. 2025. 4. 19. 잔다르크, 1999; 신의 무기로 써먹고, 마녀로 태워죽인 교회 영화를 빌미로 잔다르크 들먹이기 뤽 베송(Luc Besson)의 1999년 영화 '잔다르크(The Messenger: The Story of Joan of Arc)'는 잔 다르크라는 실존 인물을 고통스러운 환영과 신비주의적 환상 속에 배치하며 이야기를 짜내기 시작했다. 어린 시절 학대와 충격을 경험한 한 소녀가 초자연적 목소리를 듣고, 그것을 통해 전장의 영웅이 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이야기의 구조는 인물의 핵심을 모호하게 만든다. 잔다르크는 역사적 인물이며, 프랑스를 구원한 지휘관이자 왕권의 정당성을 대중 앞에서 승인한 정치적 인물이었다. 그러한 인물이 단지 신비한 환상이나 내면의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광기의 산물로만 해석된다면, 그가 실제로 수행한 전략적 판단과 탁월한 전술 능력, 권.. 2025. 4. 14. 예수를 따라 야훼를 버린 자: 마르시온 두 神 사이에서: 마르시온의 붕괴와 선택 마르시온(Marcion)은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먼저 공식적으로 이단으로 정죄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를 단지 이단의 이름으로만 기억하는 것은 그의 신학적 지위와 내면의 격변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일이다. 그는 전통적인 유대교 배경을 지닌 인물로, 토라(Torah)와 타나크(Tanakh)의 문자와 구조에 익숙했던 지식인이었다. 정경(canon)이 아직 정립되지 않았던 시기, 그는 신약 문헌, 특히 바울(Paulus)의 서신과 루가(Loukas)의 복음서를 접하면서 신의 형상에 대한 기존의 확신이 무너지기 시작한다. 구약의 하나님은 특정 민족을 선택하고, 율법을 통해 질서를 유지하며, 반역과 타락에 대해 무자비한 심판을 내리는 존재였다. 이는 전.. 2025. 4. 13. 막달라 마리아, 예수가 세운 사도, 교회가 지운 여자 예수와 함께 있었던 인물, 막달라 마리아 막달라 마리아(Mary Magdalene)는 예수의 공생애와 죽음, 부활을 모두 경험한 유일한 인물이다. 그녀는 단지 병을 고침 받은 여인이 아니며, 예수의 죽음을 지켜본 증인이고 부활의 첫 목격자이자 증언자다(요한복음 20:1–18). 누가복음 8장 2절에서는 그녀가 “일곱 귀신이 나간 자”로 등장하며, 이후 예수의 사역에 헌신적으로 물질을 지원했다는 기록이 있다. 요한복음 19장에서 대부분의 남성 제자들이 예수의 처형 현장을 떠났을 때, 그녀는 끝까지 남았고, 무덤에 향품을 들고 갔으며, 부활의 주님을 가장 먼저 만난 사람으로 복음서 네 곳 모두에서 언급된다. 이로 인해 중세 일부 교부들은 그녀를 ‘사도 중의 사도’(Apostola Apostolorum)라.. 2025. 4. 13. 네 이웃을 내 개 같이, 가나안 여인에게 욕한 예수? ‘쿠나리온’이라는 단어의 특이성 ‘쿠나리온(κυνάριον)’이라는 단어는 신약 성서 전체에서 단 두 번, 그것도 동일한 일화를 공유하는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만 등장한다. 하지만 맥락상 이 두 번 사용된 이 단어는 사실상 한 번의 전승에 등장한다. 마태복음 15장과 마가복음 7장에서 예수는 병든 딸을 고쳐달라는 가나안 여인의 요청에 응답하며 “자녀들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하지 않다”고 말한다. 여기서 ‘개’가 바로 ‘쿠나리온’이다. 고전 그리스어에서 개를 뜻하는 일반적인 표현은 ‘쿠온(κύων)’이며, 이는 야생적이고 부정한 동물을 가리킨다. 반면 ‘쿠나리온’은 그 축소형으로, 집에서 기르는 작은 개, 즉 반려동물을 의미한다고 해석되곤 한다. 신학계나 교회는 이 차이를 근거로 예수의.. 2025. 4. 12. 아웃 오브 아프리카, Out of Africa, 1985 불륜? 그런거는 빼고..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는 1985년 시드니 폴락(Sydney Pollack) 감독이 메릴 스트립(Meryl Streep)과 로버트 레드포드(Robert Redford)를 주연으로 내세워 7개의 아카데미상(Academy Awards)을 수상한 명작이다. 카렌 블릭슨(Karen Blixen)과 데니스 핀치 해튼(Denys Finch Hatton) 사이의 관계는 영화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 작품의 본질은 자아 발견과 자유에 관한 이야기다. 카렌의 여정은 식민지 시대 아프리카(Africa)에서 한 여성이 독립성과 정체성을 찾아가는 강력한 스토리이다. 1913년, 덴마크(Denmark) 귀족 출신인 카렌은 편의적 결혼을 통해 케냐(Kenya)로 향한다. 남편의 부재와 불성실함,.. 2025. 4. 12. 이전 1 2 3 4 5 6 다음